- 삼향읍과 일로읍 범대위, 매일 출퇴근 시간 반대 시위

광주 전투비행장 무안 이전 반대 범군민대책위원회에는 9개 읍면별로 지역대책위원회가 구성되어 자체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난 10월 16일 시작된 삼향읍과 일로읍 대책위의 출퇴근 시위는 10월 말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대책위에서는 전남교육청 사거리와 제일풍경채 삼거리에서 매일 40여명이 ‘너희는 싫은데 우리는 좋겠냐’, ‘무안을 지키자 군 공항은 필요없다’ 등의 만장기와 피켓을 들고 반대 홍보를 하고 있으며, 특히 남악신도시 아파트를 돌며 1인 시위까지 펼치고 있다.
또한, 삼향읍대책위는 지난 10월 19일에 삼향읍 다살림문화마당에 참여하여 홍보캠페인을 전개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무안읍대책위는 10월 16일 20여명의 회원이 참여해 소재지 상가를 순회하며 홍보 리플렛을 배부했으며, 현경면 새마을협의회에서는 10월 18일 광주 전투비행장 이전을 반대한다는 결의를 다지기도 했다.
지난 9월 광주시에서 망운면에 ‘열린대화방’을 설치한 이후 광주 전투비행장 무안 이전 반대 활동은 읍면별, 단체별로 확산 추세에 있다.
앞으로도 11월 초에 현경면과 운남면 대책위 시위 및 캠페인이 계획되어 있는 등 광주 전투비행장 무안 이전 반대 활동이 계속될 예정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22일 국정감사자리에서 의원들의 사과발언을 요구받고 “함흥차사 발언은 전남도의 노력을 깎아내릴 의도가 아니었다. 죄송하다. 열 번도 사과할 수 있다”며 “다만 이대로는 안 된다. 무안군수, 전남지사, 광주시장이 만나봤자 다람쥐 쳇바퀴다. 국회와 정부가 나서달라”고 요구했다.
지난달 강 시장은 무안군과 광주시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자처한 전남도에 대해 “지난해 12월 광주 민간·군 공항을 무안으로 통합 이전하기로 합의해 놓고, 함흥차사”라고 발언하고 무안군에는 “양심불량”이라고 표현해 전남도와 무안 주민의 반발을 불렀다